교육자료실
도덕과 평가
하나(First)
2006. 4. 1. 06:13
도덕과 평가 방안은 다른 교과와는 다른, 평가의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즉, '도덕적 행동이나 인격을 과연 교실 안에서 평가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 문제에 부딪친다. 또한 도덕적 지식은 어느 정도 평가할 수 있겠지만 도덕적 감정이나 신념, 도덕적 행동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구체적인 방법상의 문제도 있다. 그러므로 도덕과 평가가 갖는 한계들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한계들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찾아야 할 것이다.
평가의 본질은 '학습 목표 도달 여부 확인과 그에 따른 환류(피드백)'이다. 그러므로 도덕과 평가에 있어서도 학습 목표 도달 여부에 따른 적절한 환류가 일어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동시에 도덕과 평가에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도덕과 평가는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면서도 실제로는 주로 신뢰도 중심의 객관식 지필 평가에 의존하다 보니 타당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강조되는 평가 방안이 바로 수행 평가이다. 도덕과 수행 평가란 "전문가인 교사가, 학생 자신이 도덕적 지식이나 기능 및 가치·태도를 나타내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보고 평가하는 것"이다(차우규, 1999). 도덕과의 학습 목표를 볼 때 수행 평가는 객관식 평가에 비해 타당성 있는 적절한 평가이다. 하지만 수행 평가가 객관식 평가에 비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타당도를 잃어버리지 않은 수준에서 신뢰도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수행 평가 시, 다양한 수행 평가 방안에 알맞은 채점기준표(루브릭)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용 채점기준표를 제작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환류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과 평가의 다양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과의 평가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규범에 대한 이해,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 도덕적 신념과 태도, 실천 의지와 행동 성향 등을 포함하게 된다.
둘째, 도덕과의 인지적 평가에서는 대체로 도덕적 가치·규범의 의미, 근거에 대한 이해 정도, 도덕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 정도, 가치 판단의 합리성 정도 등을,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민감성과 열정성, 도덕적 가치·규범에 대한 내면화 정도 등을, 그리고 행동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실천하고 습관화한 정도를 평가의 준거로 할 수 있다.
셋째, 도덕과의 평가는 도덕성의 제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추구하고,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평가의 방법에 있어서도 가급적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필 평가, 행동 관찰, 자기 보고법, 면담법, 구술 평가, 포트폴리오, 토론 과정 및 발표에 대한 관찰 평가, 학생 상호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평가 결과는 기록, 보고, 보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고, 도덕과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 자료와 수단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다섯째, 도덕과 평가는 학생들을 등급화, 서열화하는 판정과 분류로서가 아니라,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과 도덕과 교수 학습 개선을 지향하는 평가가 되도록 한다.
평가의 본질은 '학습 목표 도달 여부 확인과 그에 따른 환류(피드백)'이다. 그러므로 도덕과 평가에 있어서도 학습 목표 도달 여부에 따른 적절한 환류가 일어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동시에 도덕과 평가에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도덕과 평가는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면서도 실제로는 주로 신뢰도 중심의 객관식 지필 평가에 의존하다 보니 타당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강조되는 평가 방안이 바로 수행 평가이다. 도덕과 수행 평가란 "전문가인 교사가, 학생 자신이 도덕적 지식이나 기능 및 가치·태도를 나타내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보고 평가하는 것"이다(차우규, 1999). 도덕과의 학습 목표를 볼 때 수행 평가는 객관식 평가에 비해 타당성 있는 적절한 평가이다. 하지만 수행 평가가 객관식 평가에 비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타당도를 잃어버리지 않은 수준에서 신뢰도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수행 평가 시, 다양한 수행 평가 방안에 알맞은 채점기준표(루브릭)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용 채점기준표를 제작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환류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과 평가의 다양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과의 평가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규범에 대한 이해,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 도덕적 신념과 태도, 실천 의지와 행동 성향 등을 포함하게 된다.
둘째, 도덕과의 인지적 평가에서는 대체로 도덕적 가치·규범의 의미, 근거에 대한 이해 정도, 도덕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 정도, 가치 판단의 합리성 정도 등을,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민감성과 열정성, 도덕적 가치·규범에 대한 내면화 정도 등을, 그리고 행동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실천하고 습관화한 정도를 평가의 준거로 할 수 있다.
셋째, 도덕과의 평가는 도덕성의 제 측면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추구하고,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평가의 방법에 있어서도 가급적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필 평가, 행동 관찰, 자기 보고법, 면담법, 구술 평가, 포트폴리오, 토론 과정 및 발표에 대한 관찰 평가, 학생 상호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평가 결과는 기록, 보고, 보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고, 도덕과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 자료와 수단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다섯째, 도덕과 평가는 학생들을 등급화, 서열화하는 판정과 분류로서가 아니라,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과 도덕과 교수 학습 개선을 지향하는 평가가 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