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도 우 미

5-3.식욕부진

하나(First) 2006. 7. 30. 12:05
http://www.amdoctor.com/cancer/cancer_lst.asp?lcode=AD0102&key=1687&mcode=AD0102001
 
식욕부진
식욕부진이란 무엇일까요?

식욕부진이란 말 그대로 “입맛이 없다”입니다.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고, 음식만 보아도 기분이 나빠지기도 합니다. 식욕부진이 되면 영양상태가 점차 악화되고, 감염이나 외부 저항력을 떨어뜨려, 회복을 느리게 하며, 치료에 대한 부작용을 악화시켜 신체 기능을 저하 시키게 됩니다.

식욕부진의 원인으로는 미각의 변화, 소화를 담당하는 장기들의 기능 감소, 심리적 변화, 암의 영향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쓴맛을 더 강하게 느끼게 되어 커피, 토마토, 초콜릿과 같은 음식을 피하거나 싫어하게 되고, 단맛을 느끼는 감각이 감소하여 음식에 설탕을 더 넣게 됩니다. 물론 이와 반대의 미각의 변화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치료로 인해 우울, 슬픔, 불안과 같은 심리상태가 식욕을 저하시키고, 식사를 미루게 되어 불규칙한 식사 습관을 갖게 하여 식욕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식욕부진,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 식욕을 떨어뜨리는 환경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면, 불쾌한 냄새나, 식사하는 곳의 환경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 식욕이 가장 좋은 시간에 음식을 먹도록 합니다.

  • 다 같이 식사하며, 식사시간에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줍니다.

  • 식사 전 간단한 산책과 신선한 공기는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습니다.

  • 하루 세끼보다는 5~6회 가량 나누어 먹는 소량씩 잦은 식사가 좋습니다.

  • 금기가 아니라면, 식사 중간에 칼로리(열량)가 높은 간식을 먹습니다.

  • 저열량 음식이나 식사 도중에는 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 단백질이 많은 우유, 치즈, 계란, 콩, 고기, 견과류를 많이 섭취하도록 합니다.

  • 생각나는 음식이나 먹고 싶은 음식을 가족들에게 알리고 가족들은 가능한 준비해주고 함께 먹도록 합니다.

  • 음식을 조리하는 냄새가 싫을 경우, 음식조리를 하지 않도록 합니다.

  • 새로운 음식에 도전해보며, 같은 음식이라도 시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예쁘게 꾸며 먹도록 합니다.

  • 식사 전 식욕을 자극할 수 있는 음료(포도주, 체리주)를 금기가 아니라면 소량씩 마셔봅니다.

  • 천천히 씹어서 먹고, 가스가 생기는 탄산음료(사이다, 콜라, 환타 등)는 피하도록 합니다.

  • 의사에 처방에 의해 식욕을 촉진하는 약을 사용 할 수도 있습니다.

  • 메게이스(megace)는 유방암 치료에 쓰이는 약물입니다. 이 약은 입맛을 좋게 하고, 체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유방암 뿐만 아니라 모든 암에서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체중의 증가와 식욕증진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임상 시험도 있어, 금기가 아니라면 식욕촉진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식욕촉진제를 복용하면서 음식 섭취량이 증가하는지 살펴보고, 체중을 기록합니다.

  • 약물의 부작용(고혈압, 혈당 상승, 수분정체, 변비, 피로감, 소화불량)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나 간호사에게 상의합니다.

고 칼로리 음식

땅콩 버터 과자, 치즈, 아이스 크림, 밀크 쉐이크, 크림 스프, 핫초코, 당분이 들어있는 과자, 요구르트, 우유, 카스타드와 푸딩, 에그노그(우유와 설탕을 섞은 음료)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하면 의사나 간호사에게 알립니다.

  1. 물을 마실 수 없거나 음식물을 삼킬 수 없을 경우

  2. 식사 습관이 악화되거나, 식욕촉진제 약물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 GC Healthcare